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은 2025학년도 1학기 학자금 대출 신청을 2025년 1월 3일(금)부터 진행한다고 알려왔습니다. 이번 대출의 금리는 1.7%로 책정되어, 등록금과 생활비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것으로 보입니다.
신청 일정과 구체적인 정보를 꼭 확인하고, 필요한 도움을 잊지 마세요.
육아휴직 대체인력 채용에 대해 1,840만원 지원금받는 방법!
2025년 새해, 행정안전부의 10대 시책으로 생활 변화 시키기
학자금 대출의 주요 사항
신청하는 시간과 절차
- 등록금 대출 : 2025년 1월 3일(금)부터 4월 24일(목)까지
- 생활비 대출 : 2025년 1월 3일(금)부터 5월 20일(화)까지
-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과 지원 한도
- 대상: 국내의 고등교육기관에 재학 중이거나 입학을 앞둔 대학생 및 대학원생
- 등록금 대출: 필요한 금액을 전부 지원
- 생활비 대출 : 학기마다 200만 원, 연간 최대로 4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대출 금리
- 2025학년도에는 1.7%의 낮은 금리가 지속될 예정입니다. 이는 고금리 시대에도 대학생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부의 노력의 결과로 보입니다.
학자금 대출의 종류와 그 특징
일반적으로 상환하는 학자금 대출
- 소득에 관계없이 만 55세 이하의 학생이라면 모두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최대 10년의 거치기간과 최대 10년의 상환기간을 합쳐서 총 20년 이내에 나누어 상환할 수 있습니다.
- 원리금 균등 상환 방식이나 원금 균등 상환 방식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취업 후 상환형 학자금 대출
- 소득 9구간 이하에 해당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합니다.
- 대출의 원리금 상환은 연소득이 2,851만 원을 초과할 때부터 시작된다.
- 상환 기준 소득이 2025학년도에 6.42% 상승하여 저소득 학생들이 겪는 부담을 경감시켰습니다.
[팁] 어떤 대출이 적합할까요?
- 학업 중에 상환의 부담을 느끼지 않길 원한다면 취업 후에 갚는 학자금 대출(ICL)을 고려해보세요.
- 상환 계획을 미리 마련하여 안정적으로 상환하고 싶다면 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5학년도 주요 변화 내용
- 상환 기준 소득의 인상이 2025학년도부터 시행됩니다. 새로운 기준은 2,851만 원으로, 이는 작년보다 172만 원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 변화는 사회에 진입한 청년들의 부담을 경감하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대출 금리를 유지하여 2024학년도와 동일한 1.7%의 고정금리를 적용했습니다. 이는 높은 물가 상황 속에서도 안정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개인 맞춤형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 다자녀 가구와 자립을 준비하는 청년, 보호 아동 등은 소득에 관계없이 생활비 대출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을 위해 교육부가 한 약속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이번 학자금 대출 정책은 대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하고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라고 말하며,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정책 개선을 계속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신청하는 것에 대해 고민하고 계신가요?
- 한국장학재단은 학생들의 필요에 맞춰 대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중도 상환 수수료가 없어서 대출을 받은 뒤 여유가 생기면 신속하게 상환할 수 있습니다.
문의처 및 추가 자료
- 학자금 대출 정보 안내 : 클릭하여 확인하기
- 문의 전화: 교육부 청년장학지원과 044-203-6268 한국장학재단 학자금대출부 053-238-2310
신청할 수 있는 기간을 잊지 말고, 공부와 자신의 꿈을 위해 중요한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