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초연금의 금액, 수급 요건 및 신청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초연금은 65세 이상의 노인을 위한 제도로,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돕기 위해 매년 기준이 조정됩니다. 올해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육아휴직 대체인력 채용에 대해 1,840만원 지원금받는 방법!
2025년 새해, 행정안전부의 10대 시책으로 생활 변화 시키기
2025년에 기초연금을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25년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 유형 |
선정 기준액 (월소득) |
단독 가구 | 228만 원 |
부부 가구 | 364만 8000원 |
단독 가구의 경우, 작년에 비해 15만 원(7%) 늘었고, 부부 가구는 24만 원 증가했습니다.
기초연금의 선정 기준액이란
기초연금을 받기 위한 선정 기준은 65세 이상의 노인 중에서 소득이 하위 70%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수혜를 받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기준은 소득과 재산 수준, 생활 여건, 물가 상승률 등을 고려하여 매년 정해집니다.
- 소득 인정액: 근로소득과 재산소득을 포함한 총액
- 소득 인정액이 선정 기준액보다 낮다면 기초연금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기초연금 선정 기준액의 변화 (연도별)
기초연금의 선정 기준이 되는 금액은 매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 2020년도: 148만 원
- 2023년: 202만 원 (처음으로 200만 원을 초과함)
- 2025년: 228만원
2025년도 기초연금 신청하는 법
기초연금을 받으려면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 아래의 방법 중 하나를 통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신청할 수 있는 장소
- 행정복지센터 (읍면동)
- 국민연금공단 지사
- 복지로 웹사이트(온라인 신청)
거동이 어려운 경우
국민연금공단의 방문 서비스를 활용해 보세요. 국민연금공단의 직원이 직접 여러분의 집에 방문하여 신청을 도와드립니다.
올해 65세가 되는 분들은 자신의 생일이 포함된 달의 한 달 전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생일이 1960년 4월인 경우 → 2025년 3월 1일부터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자 현황과 예산
기초연금을 받는 사람들의 수가 매해 늘어나고 있습니다.
- 2014년도에는 약 435만 명이었고, 2025년도에는 약 736만 명으로 예상됩니다.
- 예산: 6조 9000억 원에서 26조 1000억 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3.8배 늘어난 수치입니다.
확인 사항
- 2025년의 기초연금 선정 기준은 단독 가구의 경우 228만 원, 부부 가구는 364만 8000원으로 설정되었습니다.
- 신청은 행정복지센터, 국민연금공단 지사, 복지로를 통해 가능합니다. 이동이 불편한 경우에는 방문 서비스를 신청하시면 됩니다.
- 생일을 기준으로 신청하는 시점을 놓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노후를 대비하는 첫 단계, 기초연금을 신청해보세요!